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월대보름 행사 2025년, 음식, 세시풍속, 서울시 축제 참여 방법은?

by 긍정긍밍 2025. 2. 10.

    [ 목차 ]

한 해의 첫 보름이자 보름달이 뜨는 날로 음력 1월 1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의 명절인 정월대보름이 2025년에는 이번주 2025년 2월 15일에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월 대보름의 역사적인 의미와 전통 행사에 대해서 설명하고, 2025년에 열리는 정월대보름 행사 정보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2025년 정월대보름 행사 상세안내

서울시는 2025년 정월대보름을 맞아 다양한 전통 체험 행사를 준비하여 시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번 행사는 남산골한옥마을, 송파구 서울놀이마당, 그리고 창경궁 등 여러 장소에서 진행되며, 각 행사마다 고유의 전통 풍습과 현대적 감각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남산골한옥마을 – ‘청사진’ 행사

 

남산골한옥마을에서는 2025년 2월 12일(정월대보름 당일)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2025 남산골 정월대보름 ‘청사진’ 행사’가 진행됩니다. 이번 행사는 ‘푸른 뱀의 해’를 맞아 첫 보름달을 보며 한 해의 계획과 소망을 기원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일시 : 2025. 2. 12(수)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달집 소원: 달집에 소원지를 적어 매달며 불꽃을 통해 액운을 물리치고 소망을 이루기를 기원하는 행사입니다.

 

부럼 나눔: 부럼을 깨물어 먹으며 무병장수와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체험 프로그램입니다.

 

귀밝이술 체험: 귀가 밝아져 한 해 동안 좋은 소식을 듣게 된다는 전통 믿음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오후 6시부터는 사물놀이단 ‘광개토 사물놀이’가 참여하는 지신밟기 행사가 진행됩니다. 이 행사는 전통 풍물 연주와 함께 집터를 밟아 그해의 액운을 쫓고 가정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으로 진행됩니다.

 

오후 6시 30분에는 이날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달집태우기 행사가 시작됩니다. 달집태우기는 짚과 솔가지 등으로 만든 달집에 소원지를 매달고 불을 붙여 타오르는 불꽃에 소망을 비는 전통 행사로, 단체와 개인 모두에게 큰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기상 상황에 따라 행사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안내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송파구 서울놀이마당 – ‘송파다리밟기’ 행사

 

송파구 서울놀이마당에서는 정월대보름 당일, ‘송파다리밟기’ 행사가 별도로 진행됩니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 무형유산 공개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선소리꾼 류근우 보유자가 이끄는 ‘송파다리밟기 보존회’와 ‘송파민속보존회’가 함께 참여하여 대규모 놀이판 한마당을 펼칩니다.

 

행사는 길놀이로 시작하여 마당 춤, 선소리, 다리밟기 등이 차례대로 이어지며, 전통 놀이의 활기와 정월대보름의 기운을 한껏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달집태우기부럼 깨기 체험도 함께 진행되어, 참가자들이 다양한 전통 풍습을 직접 체험하며 즐길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됩니다.

 

다리밟기는 “다리를 밟으면 다리에 병이 나지 않는다”는 언어 유희에서 시작된 전통 놀이로, 고려시대부터 관리와 양반, 서민 모두가 함께 즐기던 잔치의 형식을 띠고 있습니다. 특히, 1989년부터 ‘송파다리밟기’는 서울시 무형유산 예능 종목으로 지정되어, 지역의 놀이패가 참여하며 대중성과 현대적 전승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01

창경궁 – ‘정월 대보름, 창경궁에 내려온 보름달’ 행사

 

창경궁에서는 정월대보름 전후를 맞아 보름달을 감상하며 새해 소망을 기원하는 특별한 행사가 마련됩니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창경궁관리소가 국립어린이과학관과 함께 진행하는 이번 행사는 2025.02.11일부터  16일까지 창경궁에서 진행되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행사입니다.

 

행사 장소 및 시간
창경궁 풍기대 주변에 대형 보름달 모형이 설치되며, 매일 저녁 6시부터 8시 30분까지 관람객들이 보름달을 감상하며 사진 촬영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정월대보름 당일 특별 프로그램
12일 정월대보름 당일에는 저녁 7시부터 8시 30분까지 대온실 앞에서 국립어린이과학관과 협력하여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는 특별 행사가 운영됩니다.

 

SNS 이벤트
행사 기간 동안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을 SNS에 게시하면, 추첨을 통해 창경궁 관련 도서를 증정하는 이벤트도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과 참여 방법은 창경궁관리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가 조건
이번 행사는 별도의 참가 신청 없이, 야간에 창경궁을 방문하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됩니다. 따라서 가족, 친구, 연인 모두가 부담 없이 창경궁의 야경과 보름달을 감상하며 새해 소망을 빌어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012

정월대보름 역사와 의미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에 해당하는 명절로, 오랜 세월 우리 민족에게 설 다음으로 중요한 세시 명절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예로부터 선조들은 이 날 오곡밥과 각종 나물을 먹으며 한 해의 풍년과 무병장수를 기원하였으며, 부럼 깨기, 달맞이, 달집태우기, 다리밟기 등 다양한 전통 풍습을 통해 액운을 쫓고 좋은 기운을 불러들이고자 하였습니다.

 

 

보름달이 크고 밝게 떠오르는 정월대보름 밤은 단순한 천체 현상을 넘어, 자연의 순환과 인간의 소망이 어우러진 상징적 순간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이 날 가족과 이웃이 함께 모여 소원을 빌고 웃음과 정을 나누며 공동체의 화합을 다지는 풍습은, 단순한 농경 사회의 의례를 넘어 오늘날에도 중요한 문화적 가치로 계승되고 있습니다.

 

또한, 정월대보름은 한 해를 시작하는 새로운 다짐의 시간으로서, 자연과 인간이 서로 어우러져 살아가는 지혜로운 삶의 방식을 보여줍니다.

 

우리 선조들이 자연의 이치에 맞추어 음식을 준비하고 놀이를 즐기던 모습에는, 단순한 즐거움을 넘어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깊은 소망이 깃들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전통은 현대 사회에서도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의 결속을 다지는 소중한 문화 유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정월대보름 전통 풍습

정월대보름에는 각 지역과 가정마다 다양한 전통 풍습이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풍습들은 단순한 민속 놀이를 넘어, 한 해의 건강과 풍요, 그리고 가족과 이웃의 안녕을 기원하는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먼저 오곡밥과 나물은 정월대보름의 대표 음식입니다.

 

오곡밥은 보리, 조, 팥, 수수, 기장 등 다섯 가지 곡식이 어우러져 한 해 동안 농작물의 풍성함과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나물은 제철 산나물이나 들나물을 사용해 자연의 신선함을 그대로 전달합니다.

 

부럼 깨기는 호두, 밤, 잣 등의 견과류를 깨물어 먹으며 치아의 튼튼함과 무병을 기원하는 전통 풍습입니다. 단순한 간식 이상의 의미를 지닌 이 행위는, 한 해 동안의 액운과 병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지내겠다는 의지를 상징합니다.

 

또한, 달맞이와 달집태우기는 보름달의 아름다움과 그 불꽃에 담긴 소원을 통해 액운을 물리치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하는 행사입니다. 달맞이는 첫 보름달을 바라보며 소원을 빌고, 달집태우기는 짚과 솔가지 등으로 만든 달집에 소원지를 매달아 불을 붙임으로써 타오르는 불꽃에 소망을 담는 의식입니다.

 

특히 다리밟기는 “다리를 밟으면 다리에 병이 나지 않는다”라는 언어 유희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 전통 놀이입니다. ‘답교놀이’라고도 불리며, 고려시대부터 관리, 양반, 서민 구별 없이 모두가 함께 즐기는 잔치의 형식을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리밟기는 공동체가 한자리에 모여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 있는 행사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밖에도 지신밟기, 귀밝이술 체험 등 다양한 전통 풍습이 존재합니다. 지신밟기는 집터를 밟으며 그해의 액운을 몰아내고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는 행사로 진행되며, 귀밝이술 체험은 귀가 밝아져 한 해 동안 좋은 소식을 듣게 된다는 전통 신앙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처럼 정월대보름의 전통 풍습들은 우리 조상들의 삶의 지혜와 자연에 대한 경외심이 담긴 소중한 문화 유산임을 보여줍니다.

 

0123